- 커뮤니티 일반
사실 지금 논쟁조차 일어나고 있지 않음
지금까지 글 쓴 애들 전부 따져봐도 수학과에서 배우는 해석학적 백그라운드를 갖고 접근하는 엄밀한 증명테크닉 등 소위 수학과적 수학이 딥러닝을 하는데 중요하다고 하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음. 그나마 "그런 연구를 하는 것도 가능은 한데, 마이너하고 탑컨퍼에서 쓸데없이 점수 짜게 준다" 정도 의견이었지.
그런데 마치 논란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딱 하나임. 그냥 백그라운드가 달라서 그럼. 예시하나 들고올게.
https://arxiv.org/pdf/2010.02502
DDIM 페이퍼임. 디퓨전 쪽 빅 페이퍼 중 하나고, 디퓨전 배우면서 얘를 건너뛸 순 없을 정도로 중요한 논문임
그럼 얘가 수학적인 지식을 요구하냐? 라고 했을 때 , 명확하게 두 의견으로 갈릴껄?
i) 잘 보면 웬만한 건 다 학부수학만 제대로 해도 무리 없이 읽히는 페이펀데 먼솔? 니들은 그냥 "계산"도 수학이라 함?
ii) 어려웡...
ii) 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저걸 무리 없이 읽을 수 있게 된 친구들은 "딥러닝에서 수학 공부가 중요하다" 라고 말할 가고, 워낙 수학적 백그라운드가 탄탄해서 이 페이퍼가 왜 어려운지 이해조차 안가는 애들은 "학부따리 수학 좀 쓰는거 갖고 수학이 중요하다라고 말하는게 말이 되나" 라고 말할거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그룹 다 동의하는 거는 뭐냐하면, "적어도 이 정도 페이퍼는 무리없이 읽어낼 수 있어야 딥러닝이든 나발이든 할 수 있다" 라는 점일거임.
결국 뉴비 입장에서 건져가야 할 건 간단함. 그 범위가 학부 수학인지 그거보다 조금 더 많이 요구하는지를 떠나서 (애초에 난 학부수학이 어디까지 배우는지를 잘 모름, 내가 학부도 국내에서 나쁜 곳은 아닌데, 우리 cs는 미방도 안했음 ㅋㅋㅋㅋ), 위에서 링크한 페이퍼를 처음부터 끝까지 큰 무리 없이 읽어낼 수 있는 수학적 리터러시를 갖도록 하면 됨. 처음부터 갖고 있으면 더할 나위 없는거고.
그나마도 최근에 구조깔짝 논문들이 포화되면서 이정도라도 수학 컨셉 쓰는 빅 워크들이 나온거지 진짜 옛날에 구조깔짝으로 페이퍼 찍어낼 때는 백프롭이 젤 어려운 수학이었음 ㅋㅋㅋㅋ